IT Guy | 아가
IT Guy | 아가피싱 방지 센터
  • 홈
  • 사례
  • 모의 피싱 체험
    • 피해 신고 도우미
    • 예방 가이드
    • 사후 대응
  • 제보
  • 소개

메뉴

  • 홈
  • 사례
  • 모의 피싱 체험
  • 가이드
    • 피해 신고 도우미
    • 예방 가이드
    • 사후 대응
  • 제보
  • 소개
IT Guy | 아가

피싱으로 더이상 피해자가 나오지 않길 바라며,
실제 피해 사례를 공유하고 예방 정보를 제공합니다.

빠른 링크

  • 홈
  • 사례 목록
  • 사례 제보
  • 소개

문의 및 신고

  • 문의하기
  • 개인정보처리방침
  • 이용약관
  • 신고요청

긴급 신고

112 (경찰)
1332 (금융감독원)
1588-1234 (피싱센터)

© 2024 IT Guy | 아가. All rights reserved.

피싱 사기로 인한 피해를 당하셨다면 즉시 경찰서나 금융감독원에 신고하세요.

기타
2025년 10월 28일 오전 08:30
서울특별시
피해 금액:30,000,000원

딱 하루 만에 전재산을 잃었습니다|믿었던 친구가 속였습니다

사례 상세 내용

접근: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이 “수익 잘 나는 방”이라며 텔레그램 리딩방 초대. 수익 인증 스크린샷 공유. 유입: 리딩방 → 1:1 상담 연결 → 해외 가상거래소/지갑 가입 링크 전달, “소액 체험 후 고액 진행” 제안. 초기 신뢰 형성: 30만 원 입금 후 계정 화면에 수익 반영(출금은 제한). 추가 입금 유도 메시지 지속. 고액 유도: “오늘만 고수익” 명목으로 당일 4회 송금, 하루 누적 3,000만 원 입금. 출금 차단 → 추가 요구: “계정 인증/세금/보증금” 명목으로 추가 입금 요구. 거절하자 차단·연락두절.

핵심 포인트

이 사례에서 가장 중요한 교훈은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전화나 문자에 대해 항상 의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.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은 절대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
주의사항

  •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전화
  • 의심스러운 링크가 포함된 문자
  • 긴급하다며 즉시 행동을 요구
  •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

예방 팁

은행 지급정지/계좌 보호, 카드 결제 정지 신청. 사이버범죄 신고 및 금감원 신고 접수 준비. 외부 메신저 유도, 수익 인증 캡처, 해외 도메인/앱 설치 강요, 출금 지연, 추가 입금 요구, 차단.
0명이 공감
0개의 댓글
조회수: 298회

관련 사례

댓글 작성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