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이드/보이스피싱 대응 가이드

보이스피싱 대응 가이드

전화로 개인정보·계좌이체 요구는 99% 사기. 끊고 공식 번호로 재확인하세요.

보이스피싱전화사기금융1121332

🚩 위험 신호

  • 수사기관·금융기관 사칭 후 즉시 송금 요구
  • 계좌이체·가상계좌·상품권 결제 지시
  • 비밀 유지·녹음 금지·통화 유지 강요
  • 원격 설치(앱·PC) 유도

⚡ 즉시 대응 방법

의심스러운 상황

아직 피해를 입지 않은 경우

  • 통화 즉시 종료 → 해당 기관 '공식 대표번호'로 재확인
  • 개인정보·보안카드·OTP·계좌 비밀번호 절대 말하지 않기
  • 원격 앱 설치·링크 클릭 금지

링크 클릭/앱 설치

의심스러운 링크를 클릭했거나 앱을 설치한 경우

  • 설치한 앱 즉시 삭제, 스마트폰 재부팅
  • 은행앱·카드앱 비밀번호 변경
  • 기기 보안 점검(백신 앱 실행)

송금 완료

이미 돈을 송금한 경우

  • 해당 은행 고객센터 → '지급정지' 긴급 요청
  • 112(경찰) 신고, 1332(금융감독원) 피해접수
  • 송금 내역·통화 녹취·문자 캡처 증거 보관

🔍 확인 방법

  • 발신번호 스푸핑 가능 → 반드시 '내가 아는 공식 번호로' 다시 걸기
  • 수사기관·은행은 전화로 개인정보/이체 요구 안 함
  • 통화 종료 후도 불안하면 지점 방문해 확인

📞 신고 방법

📋 증거 수집

  • 송금 영수증/계좌내역
  • 통화내역·녹취 파일
  • 문자·메신저 캡처
  • 요구받은 앱/링크 정보

🔄 복구 방법

  • 지급정지 후 피해금 환급 절차 문의
  • 비밀번호·PIN·공동인증서 모두 변경
  • 통신사 소액결제 차단
  • 주요 계정(메일/클라우드) 보안 점검

🛡️ 예방 방법

  • 중요 통화는 내가 아는 '대표번호'로만
  • OTP/보안카드 정보는 절대 구두로 전달 금지
  • 원격 제어·설치 요구 즉시 종료
  • 가족·지인도 '다시 걸어 확인' 습관

❓ 자주 묻는 질문

수사기관이 '계좌 추적' 명목으로 이체 요구하면요?

100% 사기입니다. 공공기관은 전화로 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.

송금했는데 몇 분 지났어요. 돌릴 수 있나요?

바로 '지급정지' 요청이 핵심입니다. 시간이 지날수록 회수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집니다.